운영체제 & kernel

디스크 파티션(diskpart) 명령어 정리

Bithub 2025. 1. 24. 16:13
728x90

본 포스트는 윈도우의 디스크와 그 파티션을 관리할 수 있는 디스크 파티션(diskpart)의 명령어를 설명하고자 한다.


파일시스템의 종류

운영체제가 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할 때 특정 규칙을 가지고 저장해야 한다.

운영체제는 특정 규칙에 따라 디스크의 섹터를 어떻게 나눌지, 파일 및 폴더 이름을 어떻게 지을지, 디스크과 운영체제가 어떻게 상호작용할지를 결정한다.

이 규칙을 파일시스템이라고 한다.

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에는 NTFS, FAT, exFAT가 있다.(* 참고로 맥은 APFS라는 애플 자체 파일시스템을 사용한다.)

윈도우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은 NTFS다.

NTFS로 포맷된 디스크에는 최대  256TB를 할당할 수 있고 개별 파일의 최대 용량은 16TB까지 지원한다.

사실상 제한이 없다고 보면되고 그렇기에 윈도우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이다.

대신, 단점으로는 호환성이 좋지 않다. NTFS로 포맷된 디스크를 맥북, 안드로이드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.


Diskpart 실행법

cmd에서 `diskpart`을 입력한다.

 


명령어

명령어 동작
list disk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를 나열한다.
select disk 1 디스크 1을 선택한다.
list partition 선택되어 있는 디스크의 파티션을 나열한다.
clean 선택되어 있는 디스크의 파티션 정보를 초기화한다.
create partition primary 선택되어 있는 디스크 전체에 주 파티션을 생성한다
create partition primary size=32000 선택되어 있는 디스크에 32GB의 주 파티션을 생성한다.
format fs=ntfs quick NTFS 파일시스템으로 quick format 수행
list volume volume의 목록을 나열한다.
select volume 2 volume 2를 선택한다.
delete volume 선택한 볼륨을 삭제한다.
extend 선택한 볼륨을 확장한다.

 

참고로 인접하지 않은 파티션끼리는 diskpart로 합칠 수 없다.

인접하지 않은 파티션을 합치려면 제3의 SW AOMEI Partition Assistant를 사용해야 한다.